36572019_1770131629710869_3347910248269611008_n.jpg
 

Melts in the wall,
And I,
Am the arrow

ARTIST STATEMENT

YEOJA A in photography

YEOJA A is a photographic work influenced by modern female artists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Nah Hyeseok, Sylvia Plath, Zelda Fitzgerald, and Virginia Woolf. The Enlightenment of the 18th century began to provide women with opportunities of high-quality education and open doors for them to go to society. However, the value of women has been underestimated because of deep-rooted male chauvinism and age-old bias against women. In addition, there is still the invisible glass ceiling, which requires women to follow their traditional roles and prevents them from displaying their talents. Ultimately, these social prejudices make it difficult for women to live the life which they dream of. Sadly, they are doomed to end up failing in life. Then, what may bring such a sad fate? The work, Yeoja A, comes from a doubt why they have to go through such a tough life although they are well-educated as precious daughters in the great growth era of the 21st century.

While staying in London for study, Lena could meet female artists from various countries. For this exhibition, she explained female modernists’ lives above to them and gathered their personal opinions about those artists.

The film work was inspired by ‘Street Haunting’ written by Virginia Woolf. In a city where women were not allowed to walk down the street, the great writer wandered around as much as she could and left stunning articles about her trail. The video was taken in the same city, following the places which she mentioned in the book.

Both displays are raising a question of how much change in women status has taken place in the 21st century: Are female artists allowed to walk around as freely as they want?

YEOJA A is a Korean word to refer to a woman meaning an adult female human being. The word for contains various symbolic meanings: Arts, Anonymity, Adultery, and &A person.

This project was exhibited in London, Seoul and Duncan(Canada).

VOICE in video

VOICE came from the personal experience as a solo female traveler.

The travel in rural areas and small cities go with danger for woman in general. Through more than 30 cities, she has to face tons of sexual harassments and numerous accidents. It makes her consider what brings them think that a solo female traveler is easy for them. In her experiences, she just becomes a body, not an individual to communicate to others in language. It can be the start point of the discrimination: no listen, to be an object as observers’ wish.

OBJET: Head and Body in Installation

BODY without a face means observers’ point of view. They can replace faces, according to their wish. Nevertheless, the female has their own voice. They speak up who they are. They have names. 

HEAD series are the objets to display why female artists had to fight to the motherhood and underestimating.

They get trapped whatever they choose. If they decide to be mothers, their authenticity get suspected of value as artists. Vice versa, they have to be brand as bad mothers if they chose to keep going their work, neglecting their kids. These objets display the dilemma.

ARTIST STATEMENT in Korean

“아무도 네게 네가 너인 것이 문제라고 말하지 않아.”
- 사샤 마리아나 잘츠만(Sasha Mariana Salzmann)의 <운석(Meteoriten)> 중에서

인간은 다면적인 존재다. 어느 층위에서 보느냐에 따라 한 인간이 하나의 얼굴로도, 천 개의 얼굴로도 보인다. 그 안에 진정한 자신은 무엇일까? 진짜 ‘나’는 어떤 얼굴을 하고 있는가, 아니 그 전에, ‘진짜 나’라는 것이 존재하기는 하는가?

MELT IN THE WALL, I AM, THE ARROW은 주위를 둘러싼 장벽과 한계 속에서 ‘나’를 찾기 위한 시도이다. 한 인간 안에 자리하고 있는 수많은 얼굴들, 그것을 정체성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

이미지를 찾는 작업을 진지하게 시작하면서 많은 말들을 들었다. 하나의 길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인간의 숙명이기에, 자신들이 택한 길을 말할 수밖에 없는 이들이 내뱉는 조언의 홍수 속에서 혼란스러울 때, 튜터였던 아프리칸 아티스트 Dawit Peros의 말이 내 안으로 들어왔다.
“사람들을 만족시키려고 하지 마, 너 자신을, 그리고 네가 보여주고 싶은 걸 보여줘. 백 명 중 한 명이라도 공감을 한다면, 그걸로 성공한 거야.”
그러나, 과연 나 자신이란 무엇인가.

내가 틀렸다는 부정적인 말들, 내 자신이 문제라고 외치는 주변의 시선이 내 눈과 귀를 가로막았다. 하나의 질문에 얽매여 한참을 가깝고 먼 길에서 방황을 했다. 환경, 늦은 나이, 여자, 완벽하지 않은 외국어, 동양인. 나 스스로 정해놓은 한계와 타고난 한계의 교집합 속에서 어떤 길을 가야할지 갈팡질팡하며 타지의 골방에서 숨을 죽이고 있던 순간, 어린시절에 만났던 여성 아티스트들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그들의 얼굴과 목소리는 ‘여성’이라는 내 정체성을 보여주었다.
‘여성’으로서의 내 목소리가, 내가 가진 그, 얼굴말이다.

MELTS IN THE WALL의 제목은 실비아 플라스의 시 AERIAL에서 가져온 제목이다.
이 작업은 작가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작업임과 동시에, 여성의 사회진출이 가능해진 계몽주의 이후 지속되어 온 여성작가들의 작업에 대한 오마주이자, 그들게 제대로 된 평가를 돌려주고 싶은 노력이다.
사진작업 YEOJA A와 비디오 STREET HAUNTING, VOICE, 작은 오브제들을 이용한 설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진작업 YEOJA A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여성 아티스트들을 1세대 페미니스트 작가들인 버지니아 울프, 실비아 플라스, 젤다 피츠제럴드, 나혜석, 김명순, 프리다 칼로, 까미유 끌로델 등의 작가들의 모습에 병치시켜 모델로 세운 포트레이트 작업이다, 모델이 되어 준 아티스트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장르의 다양한 변용을 위해 다른 분야에 종사하는 아티스트들끼리 짝을 지었다. 2017년 시작해서 계속해서 아티스트들과 접촉하며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비디오 STREET HAUNTING은 버지니아 울프, 실비아 플라스, 젤다 피츠제럴드, 나혜석의 작업을 가지고 런던거리에서 촬영되었다. 여성의 외출이 자유롭지 않던 산업혁명시기의 런던의 거리를, 버지니아 울프는 쉼없이 돌아다니며 기록했다. 버지니아 울프가 기록한 런던의 거리를 걸으며 만난 여성 행인들에게 작업의 의도를 말하고 그들이 고른 작품들을 낭송해달라고 부탁해 그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마네킹과 인형을 사용해 아티스트로서 개인의 삶이 망가지거나 작업의 진정성이 훼손되는 상황을 묘사하는 실험적인 영상을 촬영하여 두 영상을 합쳐 STREET HAUNTING을 완성하였다. 제목은 버지니아 울프의 동명의 에세이에서 따왔다.

비디오 작업 VOICE는 혼자 50여개의 도시를 여행하면서 겪었던 경험이 바탕이 되었다. ‘여자 혼자 여행하는 외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거리에서 겪어야 했던 캣콜링과 위험했던 순간들을 떠올리며 한 존재가 생각과 감정이 있는 인간이 아니라 ‘여성의 성기를 가진 몸뚱아리’이자 ‘획득하기 쉬운 존재’가 되는 순간들을 표현했다.

오브제 HEAD#1은 결혼과 출산, 육아가 강요되는 상황을 표현한 작업이다. 플라스틱 인형과 레진을 사용하였다. HEAD#2는 여성에게 가해지는 모욕과 억압 등을 마네킹을 이용해 작업한 것으로 영상 STREET HAUNTING과 이어진다. 오브제 BODY는 영상 VOICE와 이어지는 작업으로 얼굴과 정체성이 사라지고 몸만 남는 형상을 마네킹과 인형, 바늘을 이용해 표현하였다.

여성이자 아티스트라는 정체성을 여성 전체를 대표할 수는 없지만, 여성의 일부로서 직업을 가지고 살아온 1세대 페미니스트 작가들이 가부장적인 사회구조 안에서 어떻게 사라지고 죽어갔는지를 표현하고자 한 작업이다. 100여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도 여성과 남성이라는 이분법적 가부장제 구조안에서 여성성 자체가 옅은 진정성을 드러낸다는 편견과 모성애에 대한 강요나 무시를 통해 결혼을 하지 않거나 아이를 낳지 않으면 여성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아이를 낳으면 작업에 진정성이 사라지는 것으로 여겨지는 편견에 대해 의문을 던지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코 버릴 수 없는 자기 자신이라는 존재에 대한 고민과 정체성을 담은 작업이다.

2018년 여름, LENA

EXHIBITION DISPLAY

 
37588606_10214176527518611_3315827843295870976_o.jpg

Melts in the Wall,


And I,

Am the Arrow

23 July 2018 to 31 July 2018
SPACE 55

Seoul, South Korea

PRESS